HOME > 뇌전증 정보 > 뇌전증 정보
뇌전증 발생기전
뇌전증 발작이 일어나려면 잘못된 전기신호를 내는 세포가 있어야한다. 신경세포는 안정 시 음(-)전압을 갖고, 양(+)으로 전압이 변하면서 흥분을 한다. 정상적인 신경세포는 한번 흥분을 하고 나면 한 동안 휴식이 필요하다. 그런데 잘못된 전기신호를 내는 뇌세포는 여러 번 연달아서 흥분하게 된다. 이러한 과도한 흥분현상이 주변으로 퍼져 나가면 멀쩡하던 주변뇌세포들도 같이 흥분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신경세포 사이 연결은 흥분성 및 억제성 신경전달이 적절히 조절되나, 어떤 이유에서든 흥분성 신경전달이 늘어나거나, 억제성 신경전달이 줄어들면 잘못된 이상흥분현상이 주변으로 쉽게 퍼져 나가게 되며, 이것이 곧 뇌전증발작이다.

수정 삭제

뇌전증 발생원인
뇌전증 발작은 전해질 불균형, 저혈당, 요독증, 알코올 금단현상, 심한 수면박탈상태 등 뇌신경세포를 예민하게 할 수 있는 환경에서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다. 이런 요인이 없이 선천적으로 예민한 신경회로를 타고 났을 경우와 후천적으로 얻은 뇌의 질환 등으로 인하여도 합병이 될 수 있다. 전자를 ‘다른 원인이 없다’는 뜻으로 특발성 (idiopathic) 뇌전증, 후자를 ‘다른 질환의 증상의 하나로 생겼다’ 하여 증후성 (symptomatic) 뇌전증이라 부른다. 뇌전증의 원인은 높은 빈도 순으로, 뇌혈관 질환, 외상, 뇌염, 해마경화, 뇌성마비 및 선천성 기형, 뇌종양, 혈관기형, 퇴행성 질환 등이 있으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절반이 넘는다.

수정 삭제

뇌전증 정의
<뇌전증 정의> 뇌신경은 정상적으로도 늘 전기를 띠고 있는데 평상시의 전기적 질서가 깨지는 것이 ‘뇌전증발작’ (epileptic seizure) 또는 ‘경련’(seizure) 이다. 대개 뇌전증 발작이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생길 때 ‘뇌전증 (腦電症, epilepsy)’이라 진단한다.

수정 삭제

목록

이전 10 개 페이지를 불러들입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1]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다음 10 개 페이지를 불러들입니다.



Logo
[42602]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
TEL : 053-258-4368(수면센터), 4377(수면다원검사실)   FAX : 053-258-4380
COPYRIGHT(C)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媛쒖씤�뺣낫泥섎━諛⑹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