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치료방법 및 검사안내 > 약물치료
약물치료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로 적절한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약 60% 이상이 발작 없이 지낼 수 있다.
 뇌전증은 언제 약물치료를 시작하는가?
첫 발작이 있은 후 재발 가능성은 50%정도로 발작을 하였다고 모두 약물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나 다음과 같은 경우는 재발 가능성이 높아 처음 발작을 했어도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뇌파에서 뚜렷한 발작의 초점이 확인되었을 때
  뇌에 구조적인 이상소견이 관찰되었을 때, 즉 MRI에서 이상 소견이 있을 때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을 때
  뇌전증발작의 가족력이 있을 때
  과거에 뇌감염이나 의식소식을 동반한 외상이 있었을 때
  현재 활동성의 뇌감염을 앓고 있을 때
  첫 번째 발작이 뇌전증 중첨상태로 나타났을 때
  치료한 뇌전증의 경과
 뇌전증 약물은 언제까지 사용하는가?
보통 2년 내지 3년 정도 약을 사용하면서 발작이 없다면 일부 환자에서 약물 중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아래경우 약물을 중단 후에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약물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약을 사용하면서 발작이 없는 상태가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던 사람
  두 가지 이상의 발작 형태가 있는 경우, 구조적인 뇌 이상이 있는 경우
  신경학적 검사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과거력에 약물 중단 후에 재발한 적이 있는 경우
  청소년기 간대성근경련성 뇌전증 환자의 경우
 뇌전증에 사용하는 항경련제는 뇌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항경련제는 흥분성 신경세포를 억제하거나 억제성 신경전달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흥분성 신경전달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항경련제는 실제로 어떻게 투여되는가?
치료의 시작은 한 가지 약물로 하며 목표 용량 도달 후 재발하지 않는 한 그 용량을 유지해 나간다. 대개의 항경련제는 유효 혈중 농도가 있고 며칠만 복용하지 않으면 모두 분해, 배설되므로 증상이 없다 하여 약을 임의로 줄이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
 약물 복용을 위한 기본적인 수칙은 다음과 같다
  처방 받은 용량, 횟수, 시간을 지켜 복용한다. 한 두시간 정도 복용 시간이 어긋날 수 있으나 절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이름과 용량은 알아둔다
  약은 여유분을 갖고 있는 것이 좋고 특히 여행시 약물이 모자라지 않도록 주의한다
  복용한 약을 토해 낸 경우 30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에 토한 경우는 재 복용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다른 약을 복용하거나 그 외에 기존의 약물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 또는 한약 등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뇌전증 담
    당의에게 미리 문의하도록 한다
  감기약 성분 중 콧물감기에 쓰이는 항히스타민제는 간혹 발작을 유발하는 수가 있으므로 가능한 복용을 피하거나 담당의와 상의한다
 항경련제의 선택: 어떤 항경련제가 더 좋고 어떤 약을 선택해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특정 항경련제가 다른 것에 비해 더 우수하다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발작 및 뇌전증의 종류이고 그 외에 환자의 나이, 직업, 체중, 성별 등을 모두 감안하여 적절한 약을 처방하는 것이 맞다. 또한 기존 복용중이던 약과 약물 상호작용이 없는 약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항경련제의 부작용
일반적으로 약물 부작용에 대해 걱정을 하나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고 특히 몸에 큰 이상을 초래하는 중대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다. 거의 모든 항경련제는 공통적으로 과량시 어지럼증, 졸리움, 복시, 운동실조, 무기력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피부발진, 간독성, 혈소판감소증, 홍반, 빈혈 같은 환자 특이체질과 관련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약물 중단으로 원상태로 복구된다.
 치료 도중에 혈액검사는 왜 하는가?
상당 수의 항경련제는 혈중 약물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여 치료 농도의 확인 및 부작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에 이용된다.
약물 농도를 측정하는 목적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발작이 조절되는 환자에서 그 환자의 유효 혈중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충분한 용량이 투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 환자의 순응도(환자가 약을 잘 먹고 있는지)나 약물 대사 특
    이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가지 이상의 약물을 투여할 때 어느 약에 의하여 부작용이 발현되는 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약물 상호 작용에 따른 약물 농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치료가 실패하는 경우는 어떤 때인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다.
  비발작성 발작을 뇌전증발작으로 잘 못 진단한 경우
  뇌전증발작 유형에 맞지 않는 약을 사용한 경우
  약을 지시대로 제대로 먹지 않은 경우
  수면부족 또는 음주 등 피해야 할 상황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약물 난치성 뇌전증: 근본적으로 약물이 잘 안 듣는 뇌전증인 경우
 한가지 약물로 실패한 경우는 어떻게 하나?
한가지 약물로 발작 조절에 실패한 경우는 약물의 교체나 추가 약물의 투입을 고려해야 한다. 그 전에 반드시 정확하게 뇌전증 발작의 분류가 이루어 졌는가를 다시 확인해야 한다. 또 추가 약을 선택할 때는 약의 대사방법과 작용기전, 추가할 약의 부작용에 대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Logo
[42602]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
TEL : 053-258-4368(수면센터), 4377(수면다원검사실)   FAX : 053-258-4380
COPYRIGHT(C)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媛쒖씤�뺣낫泥섎━諛⑹묠